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20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기술적 취약점 점검 가이드 -PC- (2025. 1.) ver1.0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기술적 취약점 점검 가이드(PC)를 공개합니다.※ 본 가이드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발간한 것이 아니며, '주요정보통신 기술적 취약점 분석·평가 방법 상세 가이드'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별도 제작된 가이드입니다. File Hash(SHA-256) :  ebd7167f14d10e05c89416fad6bc0d22ae67f1c5648a8b46fed9b592850ad817 2025. 1. 1.
[개인정보보호위원회(PIPC)] AI 시대 개인정보 정책 종합 설명회 자료집 'AI 시대 개인정보 정책 종합 설명회' 자료집을 붙임과 같이 게시합니다.  ※ 2024.12.19.(목) 9시~15시 / 엘타워 7층 그랜드홀(양재)      출처 : 개인정보보호위원회(2024.12.19.) | https://www.pipc.go.kr/np/cop/bbs/selectBoardArticle.do?bbsId=BS061&mCode=C010010000&nttId=10867 2024. 12. 20.
[개인정보보호위원회(PIPC)] 개인정보보호위원회, 합성데이터(Synthetic data) 안내서 마련 개인정보보호위원회, 합성데이터(Synthetic data) 안내서 마련- 데이터의 안전한 활용을 위한 「합성데이터 생성·활용 안내서」 발간- 안전기준 설정 및 안전성 검증 등 안내서에 소개된 내용을 충실히 이행할 경우, 익명정보로 활용될 가능성 열어    개인정보보호위원회(위원장 고학수, 이하 ‘개인정보위’)는 최근 주목받는 개인정보 보호 강화 기술(Privacy Enhancing Technology)인 합성데이터(Synthetic data)의 안전한 생성과 활용을 지원하기 위해 「합성데이터 생성·활용 안내서」(이하 ‘안내서’)를 발간하였다.   합성데이터(Synthetic data)란 컴퓨터 시뮬레이션 또는 알고리즘에 의해 특정 목적을 위해 원본데이터의 형식과 구조 및 통계적 분포 특성과 패턴을 학습하.. 2024. 12. 20.
[개인정보보호위원회(PIPC)]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 시대를 위한 AI 프라이버시 리스크 관리 모델 제시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 시대를 위한 AI 프라이버시 리스크 관리 모델 제시- 개인정보위, 「안전한 인공지능(AI)·데이터 활용을 위한 AI 프라이버시 리스크 관리 모델」 공개- AI의 유형·용례 등 구체적 맥락에 따라 AI 기업 등이 자율적으로 프라이버시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    인공지능(AI) 모델·시스템을 개발하거나 제공할 때 프라이버시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정부 차원의 모델이 제시되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위원장 고학수, 이하 ‘개인정보위’)는 AI 기업이 자율적으로 프라이버시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도록 「안전한 인공지능(AI)·데이터 활용을 위한 AI 프라이버시 리스크 관리 모델」(이하 ‘리스크 관리 모델’)을 공개했다. 이러한 리스크 관리 모델에는 AI 생.. 2024. 12. 2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