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ecurity Trend Report99

[개인정보보호위원회(PIPC)/개인정보 포털] (전 분야 마이데이터) 개인정보 전송요구권 제도 안내서 초안 공개 및 의견수렴 2025년 3월 13일부터 개인정보 전송요구권 제도(전 분야 마이데이터)가 본격 시행됨에 따라 개인정보 전송요구권 관련 주요 내용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이해하기 쉽도록 안내함으로써 제도의 안정적인 정착과 수범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개인정보 전송요구권 제도 안내서" 초안을 붙임과 같이 공개하고, 2025년 4월 2일까지 의견을 수렴하고자 합니다. - 일반우편 : (우)03171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209, 407호 정부서울청사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범정부마이데이터추진단- 전자우편 : ohhyeok@korea.kr- 팩스 : 02) 2100-3199  ※ 출처 : 개인정보보호위원회(2025.03.24.) | https://www.pipc.go.kr/np/cop/bbs/selectBoardArticle... 2025. 3. 25.
[개인정보보호위원회(PIPC)] 개인정보 가이드라인·안내서 대폭 정비한다 개인정보 가이드라인·안내서 대폭 정비한다- 기존 가이드라인·안내서 통합 정비 후 재검토 기한·일몰제 도입- ‘개인정보 처리 통합 안내서(안)’ 공개하여 내년 1월 31일까지 의견수렴    앞으로 국민이 개인정보와 관련한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자료를 지금보다 손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위원장 고학수, 이하 ‘개인정보위’)는 기존에 제정·운영되던 개인정보 관련 가이드라인 및 안내서 등을 전면 정비한다고 밝혔다.   이는 2023년 개인정보 보호법 개정과 그에 따른 후속 시행령·고시 등 하위 법령이 정비됨에 따라 기존에 만들어진 가이드라인·안내서에 법 개정사항을 일관되게 반영하고, 기업ㆍ기관 등이 쉽게 알 수 있도록 통합하는 것이다.   먼저, 상황적 필요에 따라 제정된 사회복지시.. 2025. 1. 1.
[개인정보보호위원회(PIPC)] 개인정보보호위원회, 합성데이터(Synthetic data) 안내서 마련 개인정보보호위원회, 합성데이터(Synthetic data) 안내서 마련- 데이터의 안전한 활용을 위한 「합성데이터 생성·활용 안내서」 발간- 안전기준 설정 및 안전성 검증 등 안내서에 소개된 내용을 충실히 이행할 경우, 익명정보로 활용될 가능성 열어    개인정보보호위원회(위원장 고학수, 이하 ‘개인정보위’)는 최근 주목받는 개인정보 보호 강화 기술(Privacy Enhancing Technology)인 합성데이터(Synthetic data)의 안전한 생성과 활용을 지원하기 위해 「합성데이터 생성·활용 안내서」(이하 ‘안내서’)를 발간하였다.   합성데이터(Synthetic data)란 컴퓨터 시뮬레이션 또는 알고리즘에 의해 특정 목적을 위해 원본데이터의 형식과 구조 및 통계적 분포 특성과 패턴을 학습하.. 2024. 12. 20.
[개인정보보호위원회(PIPC)]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 시대를 위한 AI 프라이버시 리스크 관리 모델 제시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 시대를 위한 AI 프라이버시 리스크 관리 모델 제시- 개인정보위, 「안전한 인공지능(AI)·데이터 활용을 위한 AI 프라이버시 리스크 관리 모델」 공개- AI의 유형·용례 등 구체적 맥락에 따라 AI 기업 등이 자율적으로 프라이버시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    인공지능(AI) 모델·시스템을 개발하거나 제공할 때 프라이버시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정부 차원의 모델이 제시되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위원장 고학수, 이하 ‘개인정보위’)는 AI 기업이 자율적으로 프라이버시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도록 「안전한 인공지능(AI)·데이터 활용을 위한 AI 프라이버시 리스크 관리 모델」(이하 ‘리스크 관리 모델’)을 공개했다. 이러한 리스크 관리 모델에는 AI 생.. 2024. 12. 2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