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28

스타벅스, Credential Stuffing 공격으로... 일부 고객 충전금 탈취 지난 8월 19일(월) 오후에, 스타벅스의 홈페이지에서 Credential Stuffing 공격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으며, 성공한 ID의 'My 스타벅스 카드'에서 충전된 금액을 옮기는 수법으로 사용자의 돈을 훔쳤다. 스타벅스 카드는 1개의 ID에 여러 장을 등록할 수 있으며, 1장의 카드에 최대 550,000원까지 충전이 가능하다. 또한, 전용 카드 사용자에게는 12잔 구입 시 1잔의 음료를 무료로 제공하는 '별 적립'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 일부매장에서는 '현금 없는 매장'을 운영하며 신용카드나 스타벅스 카드 사용을 장려하고 있어 많은 사용자가 이용중인데 일부 고객은 수십만원씩 충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스타벅스는 공격 대상이 된 계정의 패스워드를 초기화하고, 공격 사실을 피해자의 메일과 앱.. 2019. 8. 29.
땡글닷컴, 국내 최대 암호화폐 커뮤니티 개인정보 유출 땡글닷컴에 따르면 지난 8월 18일부터 20일 사이, 땡글 사이트의 회원들 ID와 패스워드가 유출되고 있는 게 발견됐고, 더 이상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된 상태로 알려졌다. 유출된 개인정보는 회원들의 ID와 패스워드며, 18일과 20일 두 차례로 사이트 내에서 발견된 스크립트를 통해 유출된 것으로 조사됐으며, 사이트에 심어진 스크립트가 땡글닷컴의 로그인 폼을 조작하여, 로그인을 하는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탈취하고 있었다고 한다. 이에 땡글닷컴은 XE 구버전의 방식으로 암호를 설정하고 저장한 이후에, 수개월 이상 활동 또는 비밀번호를 변경하지 않은 계정 중 비밀번호가 제대로 암호화되지 않은 18,000여 계정을 정지시킨 상태며, 계정정보를 탈취한 해커가 쉽게 알아낼 수 있기에 정지 시킨 것이라면서.. 2019. 8. 29.
한국정보화진흥원(NIA), 국내 행정·공공기관 최초, 민간 클라우드 전환 지난 1월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공동 주관으로 실시한 '공공기관 민간 클라우드 전환 성과 보고회'에서 전사 차원의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 전환을 시행하겠다고 밝혔고, 작년 12월에 있었던 행정·공공기관 민간 클라우드 이용 가이드라인이 개정된 이후 공공 부문에서 민간 클라우드의 업무시스템별 부분적인 도입은 이뤄졌지만 전면적 도입은 최초 사례다. 2월부터 준비했으며, 지난 4월에는 국내 클라우드 관련 사업자(KT, NBP, 가비아, 코스콤, NHN, 인프라닉스, 넷케이티아이 등)를 대상으로 클라우드 기술검증을 위한 워크샵을 추진하여 클라우드 사업의 기술검증 및 가능성 여부 등에 대한 확인을 마치며 공공에 적용할 수 있는 모델을 설계했다. 한편, 한국정보화진흥원(NIA)는 9월까지 사업.. 2019. 8. 22.
[CVE-2019-12809] Yes24 PC Viewer 파일 다운로드 및 실행 취약점 □ 개요 YES24의 Yes24 PC Viewer(전자 도서관 PC 뷰어)에서 원격의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실행하는 취약점 취약점 종류 영향 심각도 CVD ID 파일 다운로드 및 실행 코드 실행 High CVE-2019-12809 □ 설명 Yes24Viewer ActvieX 컨트롤의 특정 메소드 파라미터 값을 조작하여 원격의 파일을 다운로드 및 실행 공격자는 이용자를 취약점 코드가 삽입된 웹사이트로 접속하도록 유도하여 임의 코드 실행을 발생시킬 수 있음 □ 영향 받는 제품 제품명 영향 받는 버전 환경 Yes24 PC Viewer ActiveX 1.0.327.50126 Windows □ 해결 방안 취약점이 해결된 Yes24Viewer ActiveX 1.0.468.1016으로 설치 □ Credit KrCERT.. 2019. 8. 21.
[CVE-2019-12808] 알툴즈 업데이트 서비스 권한 상승 취약점 □ 개요 NCSOFT社의 게임 런처 NC Launcher2에서 발생하는 임의 명령어 삽입 및 실행 취약점 취약점 종류 영향 심각도 CVD ID 권한 접근통제 권한 상승 High CVE-2019-12808 □ 설명 알툴즈(알집, 알씨 등) 업데이트 서비스 설치 폴더에 사용자의 쓰기 권한이 주어져 있어 파일 쓰기를 통해 관리자 권한 상승이 가능 □ 영향 받는 제품 제품명 영향 받는 버전 환경 알툴즈 업데이트 v18.1 및 이전버전 Windows □ 해결 방안 취약점이 해결된 최신 보안 패치(v19.1 및 이상 버전)으로 업데이트 적용 □ 참고 사이트 https://www.altools.co.kr/Download/ □ Credit KrCERT/CC (원문보기) 2019. 8. 21.
[CVE-2019-12807] 알집 ISO 압축 포맷 버퍼 오버플로우 취약점 □ 개요 이스트소프트社 알집 프로그램의 ISO 압축 포맷 라이브러리에서 스택 오버플로우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취약점 종류 영향 심각도 CVD ID 버퍼 오버플로우 코드 실행 High CVE-2019-12807 □ 설명 알집(Alzip)이 ISO 압축 파일을 해제할 때 입력 받은 데이터에 대한 버퍼 길이 검증이 미흡하여 스택 메모리 데이터 변조를 통해 임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음 공격자는 조작된 파일을 압축 해제하도록 유도하여 악성코드 감염 등을 발생시킬 수 있음 □ 영향 받는 제품 제품명 영향 받는 버전 환경 알집(Alzip) 10.83 및 이전버전 Windows □ 해결 방안 취약점이 해결된 최신 보안 패치(10.85 및 이상 버전)으로 업데이트 적용 □ 참고 사이트 https://www.al.. 2019. 8. 21.
[CVE-2019-12806] UniSign 버퍼 오버플로우 취약점 □ 개요 CROSSCERT의 UniSign에서 발생하는 버퍼 오버플로우 취약점 취약점 종류 영향 심각도 CVD ID 버퍼 오버플로우 코드 실행 High CVE-2019-12806 □ 설명 UniSign의 특정 라이브러리에서 발생하는 스택 기반 버퍼 오버플로우 취약점으로, 특수하게 조작된 HTTPS 패킷을 전송하여 임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음 공격자는 이용자를 조작된 웹 페이지로 접속하도록 유도하여 악성코드 감염 등을 발생시킬 수 있음 □ 영향 받는 제품 제품명 영향 받는 버전 환경 UniSign 2.0.4.0 및 이전버전 Windows □ 해결 방안 취약점이 해결된 최신 보안 패치(2.0.5.0 및 이상 버전)으로 업데이트 적용 □ 참고 사이트 https://www.unisign.co.kr/ □ Cred.. 2019. 8. 21.
[CVE-2019-12805] NC Launcher 2 임의 명령어 삽입 취약점 □ 개요 NCSOFT社의 게임 런처 NC Launcher2에서 발생하는 임의 명령어 삽입 및 실행 취약점 취약점 종류 영향 심각도 CVD ID 임의 명령어 삽입 코드 실행 High CVE-2019-12805 □ 설명 NC Launcher2의 커스텀 프로토콜 핸들러 내에 임의 명령어를 삽입하여 실행 할 수 있는 취약점으로 공격자는 이용자를 조작된 웹 페이지로 접속하도록 유도하여 악성코드 감염 등의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음 □ 영향 받는 제품 제품명 영향 받는 버전 환경 NC Launcher2 2.4.1.691 및 이전버전 Windows □ 해결 방안 취약점이 해결된 최신 보안 패치(2.4.1.705 및 이상 버전)으로 업데이트 적용 □ 참고 사이트 https://lineage.plaync.com/downl.. 2019. 8. 21.
[CVE-2019-9141] 존플레이어 ActiveX 원격코드실행 취약점 □ 개요 IMGTech 社의 동영상 플레이어인 존플레이어 ActiveX에서 발생하는 원격코드 실행 취약점 취약점 종류 영향 심각도 CVD ID 원격코드 실행 코드 실행 High CVE-2019-9141 □ 설명 존플레이어의 ZInsVX.dll ActiveX에서 사용하는 안전하지 않는 함수(메소드)로 인해 원격의 파일을 다운로드 및 실행할 수 있는 취약점 공격자는 이용자가 조작된 웹 페이지로 접속하도록 유도하여 악성코드 감염 등의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음 □ 영향 받는 제품 제품명 영향 받는 버전 환경 존플레이어 ZInsVX.dll ActiveX 2018.12 및 이전버전 Windows * 보안 패치파일 버전이 이전과 동일하여 ZInsVX.dll 파일의 수정 시간(2018.12)으로 버전명 명시 □ 해결 .. 2019. 8. 21.
[CVE-2019-9140] 해피포인트 모바일 앱 정보 노출 취약점 □ 개요 SPC CLOUD 社의 해피포인트 모바일 앱에서 발생하는 정보노출 취약점 취약점 종류 영향 심각도 CVD ID 코드 삽입 정보 노출 High CVE-2019-9140 □ 설명 해피포인트 모바일 앱에서 딥링크(Deeplink) URL에 대한 검증이 부재하여 발생하는 취약점으로, 스마트폰 사용자가 취약점을 발생시키는 악성 URL 링크에 접속할 경우 자바스크립트가 실행되어 민감한 개인정보가 노출되는 취약점 □ 영향 받는 제품 제품명 영향 받는 버전 환경 Happypoint 6.3.19 및 이전 버전 android □ 해결 방안 구글 플레이 스토어를 확인하여 취약점이 해결된 최신버전(6.4.1) 이상으로 업데이트 □ 참고 사이트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 2019. 8. 2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