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T & Security281 [KISA 인터넷 보호나라&KrCERT] 비대면 서비스 개발‧운영 환경 주요 보안 취약 사례별 대응방안 비대면 서비스 개발‧운영 환경 주요 보안 취약 사례별 대응방안 Ⅰ. 개요 1. 배경 2. 매뉴얼 목적 및 구성 Ⅱ. 주요 취약 사례 및 대응 방안 1. 네트워크 보안 2. 유·무선 공유기 보안 3. 클라우드 보안 4. 서버 보안 5. 데이터베이스 보안 6. 업무용 PC 보안 Ⅲ. 시사점 □ 작성 : 사이버방역단 방역점검팀 ※ 출처 : KISA 인터넷 보호나라&KrCERT(2022.08.01.) | https://www.boho.or.kr/data/guideView.do?bulletin_writing_sequence=66833 2022. 8. 1. 패스워드 정책 2022. 7. 21. [국가정보원(NIS), 국가사이버안보센터] 2022 국가정보보호백서 2022 국가정보보호백서(국가정보원) 2022 국가정보보호백서(국가사이버안보센터) 1. 정보보호 환경 변화 및 사이버위협 동향 2. 정보보호 법·제도 및 기관 3. 분야별 정보보호 활동 4. 정보보호 기반조성 ※ 출처 : 국가정보원(2022.06.20.) | https://www.nis.go.kr/AF/1_7_7_1.do?fbclid=IwAR0JKuGwuRaRjoUOkO3ojGB9B7_GZiHxRN6rovqUYgAxpg8lcvOxAKgoZzs ※ 출처 : 국가사이버안보센터(2022.06.20.) | https://www.ncsc.go.kr:4018/main/cop/bbs/selectBoardArticle.do?bbsId=Publish_main&nttId=13159&pageIndex=1&searchCnd2.. 2022. 6. 22. [방송통신위원회(KCC)] 개정된「위치정보법」해설서 발간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한상혁, 이하 방통위)와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이원태)은 지난 2022년 4월 20일부터 시행된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이하 ‘위치정보법’)에 대한 항목별 설명이 수록된 해설서를 개정 발간하였다. 해설서는 지난 4월 초안을 마련하여 산업계 ? 유관기관 ? 법조계 등의 의견을 수렴하였고, 자문반 운영을 통해 2차례의 회의를 거치는 등 각계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반영하였다. 이번 해설서는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해설서(2010)」 및 「위치정보의 관리적?기술적 보호조치 권고 해설서(2015)」 발간 이후 위치정보법 관련 개정사항을 총망라하여 개별 항목의 규정 취지 및 주요 내용에 대해 상세히 사례를 들어 설명하였다. 특히, 이용자나 사업자.. 2022. 6. 22. 728x90 이전 1 ··· 27 28 29 30 31 32 33 ··· 71 다음